WEKO3
アイテム
日本における韓国語教育の再検討-文化的側面からのアプローチ
https://ic.repo.nii.ac.jp/records/2000051
https://ic.repo.nii.ac.jp/records/20000519d6fbf25-03c5-44ea-bbf5-20ed8e70e558
名前 / ファイル | ライセンス | アクション |
---|---|---|
![]() |
Item type | 紀要論文 / Departmental Bulletin Paper(1) | |||||||||||||||||||||||||||||
---|---|---|---|---|---|---|---|---|---|---|---|---|---|---|---|---|---|---|---|---|---|---|---|---|---|---|---|---|---|---|
公開日 | 2025-01-21 | |||||||||||||||||||||||||||||
タイトル | ||||||||||||||||||||||||||||||
タイトル | 日本における韓国語教育の再検討-文化的側面からのアプローチ | |||||||||||||||||||||||||||||
言語 | ja | |||||||||||||||||||||||||||||
タイトル | ||||||||||||||||||||||||||||||
タイトル |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 재검토 – 문화적 측면에서의 접근 | |||||||||||||||||||||||||||||
言語 | ko | |||||||||||||||||||||||||||||
言語 | ||||||||||||||||||||||||||||||
言語 | jpn | |||||||||||||||||||||||||||||
資源タイプ | ||||||||||||||||||||||||||||||
資源タイプ識別子 | http://purl.org/coar/resource_type/c_6501 | |||||||||||||||||||||||||||||
資源タイプ | departmental bulletin paper | |||||||||||||||||||||||||||||
著者 |
染谷, 智幸
× 染谷, 智幸
× 鄭, 敬珍
× 橋本, 真由美
|
|||||||||||||||||||||||||||||
抄録 | ||||||||||||||||||||||||||||||
内容記述タイプ | Abstract | |||||||||||||||||||||||||||||
内容記述 | 이른바 'K-culture'의 유행은 대학 교육현장 뿐만 아니라 일반 한국어 교육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 다. 해마다 대학에서 교양 제 2 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반 사회에서 도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이들 중 상당수는 K-pop, 드라마, 영화, 음식 등 다양한 한국 문화에 관심을 갖고 있는데 언어를 통 해 한국을 더 가깝게 느끼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한국어 학습은 단순한 언어 습득에 그치지 않 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귀중한 기회이기도 하다. 언어와 문화는 분리될 수 없으며, 한국 어 학습에 있어서 문화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차례 논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실제 수업 현장이나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 문화를 충분히 소개하고 교수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 이유로는 한국어 수업과 교재 내용이 언어학습 중심이다 보니 문화적 배경이나 역사에 대해 접할 수 있는 시간이나 지면을 확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한국어 교육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를 높일 수 있는 귀중한 기회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대학 수업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육 교재를 비롯해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독학용, 취미용 교재(이들 교재 역시 대학 부교재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를 중심으로 이들 교재가 한국 문 화에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소메야 토모유키, 정경진, 하시모토 마유미의 공동집필로 진행하였으며 본 주제에 대한 각 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소메야 토모유키는, 한국어 교육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에도 시대의 유학자·아메노모리 호슈 (雨森芳洲)에 의한 통사(통역자) 전용 교재 개척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메노모리 호슈가 살았던 당 시부터 이미 어학 교육 속에 문화를 어떻게 포함시킬지에 대해 논의가 있었던 점을 지적한 후 아메노 모리 호슈의 어학 교육 방침에 대해 검증하였다. 정경진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이라는 어학교육 현장 중 특히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어떤 교재가 채택되는지, 또한 그러한 교재들이 한국 문화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 지에 대해 논하였다. 하시모토 마유미는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시판 중인 독학용·취미용 등)에 주목 하여 현재 가장 주목받는 주제(예를 들면 「오시카츠(推し活・팬활동)」 「한국 드라마」 「K-POP」) 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재의 최신 경향에 대해 검증하였다. |
|||||||||||||||||||||||||||||
言語 | ko | |||||||||||||||||||||||||||||
書誌情報 |
ja : 茨城キリスト教大学紀要 I.人文科学 en : Journal of Ibaraki Christian University I. Humanities 巻 58, p. 73-89, 発行日 2024 |
|||||||||||||||||||||||||||||
出版者 | ||||||||||||||||||||||||||||||
出版者 | 茨城キリスト教大学 | |||||||||||||||||||||||||||||
言語 | ja | |||||||||||||||||||||||||||||
出版者 | ||||||||||||||||||||||||||||||
出版者 | Ibaraki Christian University | |||||||||||||||||||||||||||||
言語 | en | |||||||||||||||||||||||||||||
ISSN | ||||||||||||||||||||||||||||||
収録物識別子タイプ | PISSN | |||||||||||||||||||||||||||||
収録物識別子 | 1342-6362 |